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시민덕희’ 줄거리, 배경, 등장인물, 촬영지, 평가 및 수상 등 총정리

by mstory2025 2025. 5. 1.

영화 "시민덕희"는 보이스피싱 피해자가 직접 범인을 추적하는 내용의 실화 기반 영화입니다.  2016년 화성시 세탁소 화재 피해자가 보이스 피싱을 당한 후 범인을 직접 추적한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합니다. 라미란, 공명 등이 출연하며 2024년 1월 개봉해 100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하며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 글에서는 영화의 줄거리, 배경(실화), 주요 등장인물, 촬영지, 평가 및 수상 내역 등을 총정리 해 보겠습니다.

영화 "시민덕희" 포스터

줄거리

"시민덕희" 는 한 평범한 시민이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로 피해를 입고, 그 배후를 추적하며 스스로 정의를 실현하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입니다. 주인공 ‘덕희’는 은행에서 전화금융사기를 당한 후, 자신이 속았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그러나 수사기관의 무관심과 복잡한 절차 속에서 제대로 된 도움을 받지 못하자, 직접 증거를 수집하고 사기 조직의 실체를 밝혀내기 위한 고군분투를 시작하죠.

 

영화는 단순히 한 사건을 해결하는 추적극이 아닌, 한 시민이 거대한 범죄 조직과 시스템의 한계에 맞서 싸우는 과정을 통해 현실에 존재하는 문제를 조명하며 깊은 감동을 줍니다. 덕희는 피해자로서의 분노와 무력감을 딛고 정의를 향해 나아가며, 우리 사회가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 묵직한 질문을 던집니다.


배경 : 실제 사건

이 영화는 2016년 실제로 발생한 보이스피싱 사건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한 여성 피해자가 경찰과 언론에 도움을 청했지만 명확한 수사가 이루어지지 않자, 자신이 직접 현금을 전달하러 온 인물의 인상착의를 파악하고 CCTV와 동선을 추적해 사기 조직의 일당을 검거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됩니다.

 

실제사건 경위

  • 2016년 1월, 김성자 씨(당시 44세)는 수원지방검찰청을 사칭한 전화 받음
  • 압류신청을 위해 1,598만원을 보내라는 요구에 응했고, 추가로 1,600만원을 더 송금하여 총 3,200만원의 피해 입음
  • 김성자 씨는 사기법이 다시 연락해 오자 모든 통화 내용을 녹음하기 시작
  • 문자로 오던 증거를 "잘 들어오지 않았다"고 속여 이메일로 받는 전략을 사용함.
  • 보이스피싱 중간 조직원을 끈질기게 설득하여 증거자료 확보함.
    • 총책 신원 및 실물사진
    • 조직원이 쓴 자필 진술서
    • 피해자 명단 (약 70명)
    • 중국 산둥성 범행 근거지 정보
    • 종책이 설을 맞아 귀국하는 항공편 정보 
  • 주인공 김성자씨는 8년 만에 2024년 8월 국민권익위원회로부터 5,000만원의 포상금 지급 받음

특히 이 사건은 피해자가 단순한 정보 제공자 역할을 넘어서 범인을 쫓고 체포로 이어지는 데까지 실질적인 기여를 했다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았으며, 이후 여러 언론에 소개되면서 영화화까지 이어졌습니다. ‘시민 덕희’라는 별명이 붙은 것도 이 실화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주요 등장인물

  • 덕희(주인공 / 라미란) : 보이스피싱 피해자이자 이 영화의 핵심 인물. 평범한 시민이었지만 사건을 계기로 직접 수사에 나서며 사기 조직의 실체를 파헤칩니다.
  • 형사 정철(공지원) : 덕희와 함께 사건을 추적하며 진실을 밝히는 데 협력하는 형사. 초반에는 회의적이지만 점차 덕희의 진심에 감화됩니다.
  • 사기 조직 중간책(장윤주) : 조직 내부의 핵심 인물 중 하나로, 덕희와 직접적으로 얽히며 갈등을 빚습니다.
  • 검찰 및 은행 관계자, 가족 등 : 사건을 둘러싼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여 현실적인 사회 구조의 문제를 보여줍니다.

주요 촬영지

코로나19 팬데믹 여파로 인해 중국 현지 촬영이 불가능해지자, 제작지은 국내 대체 촬영지를 찾아서 촬영 진행합니다.

이 과정에서 전라북도 군산이 주요 촬영지로 선정되고, 칭다오의 누아르적 분위기를 살릴 수 있도록 세트를 제작하여 재현합니다.

  • 주요 촬영지 : 전라북도 군산시 (개복동 ~ 창성동 거리 등)
  • 중국 칭다오 세트 : 군산에 직접 세트를 제작

평가 및 수상 내역

평가

  • 관객 평점: ★★★★☆ (8.5점대 유지)
  • 평단 평가: "사회적 메시지와 연기의 시너지", "과장 없는 리얼리즘", "현실고발 영화의 귀감"

수상 

  • 제 25회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여성영화인축제, 2024) 라미란 수상
  • 제 11회 한국영화제작가협회상 (2024), 제44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2024) - 여우조연상 염혜란 수상
  • 제19회 파리한국영화제  관객상 수상

흥행 성적

  • 개봉일: 2024년 1월 24일
  • 총 관객 수:171만 명 돌파
  • 누적 매출:161억 7천만 원 (박스오피스 수익), 손익분기점 달성에 성공한 것으로 평
  • 박스오피스: 개봉 첫 주 1위, 3주 연속 TOP3 유지
  • 주요 타겟: 30~50대 여성 관객 중심, 입소문 흥행 성공

특히 개봉 초반 대작들이 포진한 시즌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입소문과 실화 기반의 감동이 더해져 중장년층 관객층의 강력한 지지를 얻으며 꾸준한 관람객 수를 기록했습니다.